전통문화 사이트의 정보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제작한 다양한 유교문화 관련 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제공됩니다
http://multi.ugyo.net/
유교문화관은 국학진흥원 소장 기록자료 중에서 심미적 가치와 교육적 효과가 뛰어난 자료를 선정해 유교문화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유교문화가 과거의 것이 아니라 대중이 일상적으로 보고 느끼는 문화적 향수(享受)의 대상이 되도록 하려는 의도로 구축되어진 콘텐츠입니다.
http://edu.ugyo.net/
유학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내용을 전반적으로 개관하기 위해서 개발된 콘텐츠입니다. 유학의 기본이념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교육제도와 교육기관, 교육 철학 등을 본 사이트에서 흥미롭게 살펴보실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
http://form.ugyo.net/
우리의 삶에서 가장 큰 변화의 시기에 치러지는 의식, 우리 조상들은 어떤 절차와 문화를 이러한 의식인 가례(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통해 표현해 냈을까? 가례 아카이브는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의 전통 의례 문화를 가장 핵심적인 사례(四禮)의 실제 모습에서 찾고자 구축된 콘텐츠입니다. 다양한 아카이브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의례가 형성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습니다.
http://life.ugyo.net/
옛문서 생활사박물관은 한국국학진흥원이 소장한 조선시대 및 근대시기 옛문서를 통해 선인들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이버 박물관입니다. 특히 근대시기의 문서 중에는 징용영장, 경찰서 호출장, 근대호적 등을 통해 한국 근대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http://saheng.ugyo.net/
‘조선 사신들의 눈으로 본 세계와 문화’라는 주제 아래 중국을 다녀온 사신들의 기행문인 사행록(使行錄)을 활용하여 조선시대의 외교와 국제교류에 대하여 디지털콘텐츠로 재현하고 이야기 소재를 발굴하여 문화산업 분야에 창작 소재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hahoe.ugyo.net/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하회마을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문화를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통 민속 마을 디지털 아카이브 콘텐츠입니다. 전통 생활 문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아울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수집·가공으로 구축된 아카이브를 통하여 하회의 어제와 오늘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http://hanok.ugyo.net/
조선의 건축방법을 다양한 분류에 의해 알아볼 수 있으며, 가상 한옥고을에서 가상의 인물 '한국학'을 통하여 전통 선비문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일상, 교육ㆍ행정 등 세 가지 주제영역에서 전개되는 선비로서의 삶, 교육자로서의 삶, 수령으로서의 삶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 입니다.
http://mokpan.ugyo.net/
목판아카이브 사이트는 한국국학진흥원이 소장하고 있는 목판에 대한 지속적인 DB화의 결과물로 구축된 콘텐츠입니다. 또한 본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교목판 10만장 수집운동’ 및 유교목판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에 호응해, 목판 기탁의 필요성을 알리고 일반인들이 우리 목판인쇄 문화의 의의와 중요성을 체험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한 콘텐츠입니다.
http://story.ugyo.net/
스토리 테마파크는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일기류 및 기타 기록 자료를 활용하여 문화예술 창작자들이 활용 할 수 있도록 ‘이야기 소재’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사람들의 세밀한 일상적인 삶의 면면을 이야기 단위로 살펴 볼 수 있도록 구축되었습니다.
http://maninso.ugyo.net/
만인소는 조선시대 만여명에 달하는 재야 유학자들 목숨을 걸고 왕에게 올린 상소문으로 본 사이트는 1855년 사도세자 추존 만인소와 1884년 복제개혁 반대 만인소를 대상으로 구축되었습니다. 본 만인소는 아태지역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http://pyeonaek.ugyo.net/
편액은 건물의 문과 처마 사이에 글씨를 새겨 붙인 나무판입니다. 단순하게는 건물의 명칭과 성격을 표시하는 장식적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건물과 건물주의 상징성이 표현되어 있어 아태지역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http://diary.ugyo.net/
조선시대 일기자료는 선조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내밀한 기록자료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서사 구조는 학술적 가치뿐만이 아니라 문화콘텐츠 산업의 기반이 되는 스토리텔링의 중요 소재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http://book.ugyo.net/
고도서는 선인들의 문학과 사상, 삶의 철학이 녹아있는 소중한 기록자료입니다. 문집은 대부분 개인이 일생동안 집필한 저작과 사후 관련 저작이 총망라되어 있는 종합적 인쇄물로서 당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입니다.